자료창고

CCTV관련용어 C

이천이 2011. 10. 19. 12:40

C Mount / CS mount

CCTV용 렌즈에는 2가지 종류의 렌즈 마운트가 있다.
최초로 기준으로 채택된 것이 C마운트렌즈이며 C마운트 렌즈는 플랜지 백거리가 17.5mm이다,

C마운트를 개량해서 새로 채택된 것이 CS마운트이며 CS마운드 렌즈는 플렌지백거리가 12.5mm이다.
최근에 개발된 카메라는 이들 2종류의 렌즈 마운트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와 렌즈를 적절히 세팅하기 위해서는 이 점이 매우 중요하다.
C 마운트 렌즈는 5mm어댑터를 사용하면 CS 마운트 카메라에도 사용이 가능한 반면,
CS 마운트 렌즈는 C 마운트 카메라에는 사용할 수 없다.
통상 C마운트렌즈는 허용이미지 크기에 따라 1/3, 1/2, 2/3, 1인치용이 있다.

*C마운트렌즈는 형태및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고정 초점렌즈
2.줌렌즈
3.특수용 렌즈

Cabling Losses

시스템의 접속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저항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신호나 공급 전압의 손실.

신호의 손실은 동축 케이블 유전체의 누설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Capture / 캡처(캡쳐)

1) Capture(캡처)는 화면의 내용을 파일에 담는 작업이다.

주로 D.V.R과 같은 디지탈녹화장비에서 많이 사용한다

2) 데이터 통신에서 통신 회선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면서 동시에 디스크 등과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작업이다.

3) 프로그램에 의하여 프린터에 전달된 출력물을 프린터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 등과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파일로 저장하는 작업이다.

CATV(cable television,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유선TV 또는 공동청취 안테나TV. TV의 방송프로그램을 동축케이블로 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원래 도시 빌딩이나 산간벽지 등 전파가 닿기 어려운 지역의 난시청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생겨났다.

전파와 달리 양질의 채널이 무수히 가능하여 자주(自主)방송이나 다른 정보서비스에도

사용할 수 있어 선진국에서는 일부 도시나 기업 등에 실제로 보급되고 있으며 생활의 일부로

정착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국적인 방송망체제를 갖추고 다양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CD카메라 (CCD CAMERA)

Lens로 입사된 광 신호를 CCD(고체촬상소자)에서 전기신호로 바꾸고 Analog신호를

Digital신호로 변환하여 DSP에서 화상신호처리를 통해 Video신호를 출력, Monitor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Camera 장치.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어로서
고체 촬상소자중의 하나이며 진공관(Vacuum tube)을 대신하는 신개념의 촬상(撮想)장치

(Imaging device)이다.

기본적으로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천만 화소를 포함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이미지 센서로서 원화상을 광학계를 이용해 고체소자에 결상시켜 그 상을 고체소자

내에서 전자적으로 주사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소자를 말한다.

* CCD카메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낮은 전압

2. 고감도, 고해상도

3. 보다 빠른 영상출력

4. 반영구적인 수명

5. 소형,경량


CCTV

CCTV는 Col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어이며 직역을 하면 폐쇄회로텔레비젼이다.
이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이다.
광의 개념상에는 일반 유,무선방송을 개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이라하고 ,

이와 대비하여 특정한 화면 수상자에게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즉, CCTV라고 부른다.
화상의 송.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며(대개 유선이 보편적인 형태이다.

무선의 경우 전파송출법등 관계기관의 규제를 받는다.)

수신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돼 있어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도 한다.
CCTV는 때로 Industrial Television의 약어인 ITV로 불리기도 하는데 방송텔레비전 이외의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으로 그 용도가 다양하며

특히 CCTV에 의한 화상정보 전송은 다른 데이터 전송이나 음성정보 전송에 비해 취급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많아 현장의 분위기나 사람의 감정까지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CTV는 기본적으로 촬상장치, 전송장치 및 표시장치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엔

여기에 기록장치를 부가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텔레비전 방식으로는 방송 텔레비전 방식에 준거하는 것이 많으며 흑백화면에서

컬러화면의 것으로 옮겨가고 있다.

컬러 방식의 것에서는 NTSC, PAL 등의 표준 컬러텔레비전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많으며 최근엔 수평 주사선수가 1,125인 하이비전 방식을 채용해 고해상도를

얻도록 한 것도 나왔다.  
  또한 신호의 전송에는 종래엔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엔 고화질을 위한

광파이버 케이블로 대체되어 가기도 하고 종래의 애널로그 전송방식으로 부터 디지털

전송방식으로 전환해 가는 경향도 있다.

주로 침입자감시를 위한 보안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CCTV는

보안관련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장비이다.

CDS & AGC(Correlated Double Sampling Hold & Auto Gain Control)

CCD가 주는 전기적 신호에서 Noise를 제거한 순수신호만을 추출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드는 장치

C/CS-MOUNT 1.C-MOUNT : LENS와 CAMERA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규격의 일종으로

주로 감시용 CAMERA의 LENS MOUNT 규격만이 사용되고 있다.

2.CS-MOUNT : C-MOUNT에서 변형된 MOUNT 규격으로서 나사의 외경 및 PITC는

동일하나 FLANGE (플렌지 : 렌즈의 마운트가 시작되는 부분) 초점거리가 C-MOUNT에서

5mm 짧은 12.5mm로 구성되어 있는 MOUNT 규격이다.

Chromatic Aberration
색수차. 빛의 파장에 따라 상의 위치 및 배율이
다른 오차.
CMOS /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는 상보형 금속산화 반도체라는

뜻으로 컴퓨터에서 배터리에 의하여 동작되는 기억 장치로써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정보를 보관하는 기억 장소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CMOS는 MOS반도체에서 p채널 트랜지스터와 n채널 트랜지스터를 접합하는 상보

회로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TTL에 비해 동작 속도가 늦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집적도가 높고 소비 전력이 적어서 손목 시계 또는 휴대용 전자계산기 등과 같은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coaxial cable 동축케이블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이란 원통형의 외부도체와 그 중앙에 초의 심과 같이 동일축을

이루는 중심도체를 절연물로 고정한 케이블을 말한다.

동축케이블은 일반케이블인 평형형 케이블과 비교해 그 구조상의 특성으로 주파수가

많아질수록 전송손실이 작아 누설(전송상의 송신내용이 새나가는 것)이 감소하는 특성이

있으며 임피던스 균등성의 확보가 용이하게 때문에 장거리 광대역 다중전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동축케이블은 동축 원통 도체에 의한 전자파의 전송에 관한 학문적 이론이 1934년

셸크노프(Schelknoff)에 의해 정립됐고 거의 같은 시기에 에스펜시드(Espenshide)와

스트리비(Strieby)의 "동축선로에 의한 광대역전송방식"이란 논문이 발표돼

동축케이블방식의 구상이 확립돼 평형형 반송케이블을 대신하는 반송다중선로로서

오늘날의 동축케이블이 개발된 것이다.

 동축케이블의 특징으로 들 수 있는 것은 멸쇄량
특성, 임피던스균등성, 누설특성 등으로 장거리 광대역 다중전송로로서 널리 활용돼

왔으나 근년에 급속히 발전한 광파이버 기술에 장거리전송로의 역할을
양보해가고 있다.

Composite Video
화상과 수평, 수직 블랭킹, 동시 펄스등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