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經)과 논(論)에 석가모니
가 태어난 날을 2월 8일 또는 4월 8일로 적고 있으나, 자월 (子月:지금의 음력 11월)을 정월로 치던 때의 4월 8일은 곧 인월(寅月:지금의 정월)을 정월로 치는 2월 8일이므로 음력 2월 8일이 맞다고 하겠다.
한편 1956년 11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서 열린
제4차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양력 5월 15일을 석가탄신일로 결정하였다.
UN에서는 1998년스리랑카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도대회의 안건이 받아들여져,
양력 5월중 보름달이 뜬 날을 석가탄신일로 정해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대한민국 에서는 음력 4월 초파일을 석가탄신일로 보고 기념한다.
대한민국, 중화민국, 마카오, 홍콩에서 공휴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75년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연등을 통해 지혜를 밝힌다는 상징성이 있다. 연등놀이는 석가 탄생을 축하하여 등공양(燈供養)을 하던 풍습에서 나온 것이다.
이 날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로 사월초파일을 기념하는 법회를 비롯하여 연등(燃燈) 관등(觀燈)놀이(제등행렬)·방생(放生)·물놀이·성불도놀이·탑돌이 등이 있다.
사월초파일 연등에 관한 최초의기록은 고려 의종 때 백선연(白善淵)이 4월 8일에
점등했다는 것으로, 당시 초파일 연등을 1번 밝히면 3일 낮과 밤 동안 등을 켜놓고 미륵보살회를 행했다고 한다. 연등을 만들 때 그 모양은 수박·거북·항아리 모양 등으로 매우 다양했다.
1996년(불기 2540년)부터는 연등축제로 이름을 붙이고 동대문 운동장 - 조계사에 이르는
제등행렬을 비롯하여 불교문화마당, 어울림마당(연등법회), 대동(회향)한마당등 행사가 추가되어 종합적인 축제로 전환하였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