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태평양전쟁 도발 후 이듬해인 1942년(쇼와17년) 6월13일 자로 일본육군성 부관이 일본육군 대만군참모장에게 보낸 이 비밀문서(陸亞密電118號)는 “일본육군 대만군참모장의 특종위안부 50명이 대만에 도착했으나 인원이 부족하다는 요청에 따라 오카부대(岡部隊)인솔증을 발급받아 위안부 20명을 증원, 파견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 문서에는 또 "앞으로 이 종류(위안부)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 이와같이 처리하기 바란다"는 내용이 적혀 있어 이후 동남아지역에 전선이 확대되면서 위안부 파견이 빈번하게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총수는 최대 40만명까지 추산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조선인 여성은 10만~20만명으로 추정된다.
김 소장은 “야전군에 특종위안부를 파견한 비밀문건 자료가 일본방위청 사료집(陸亞密大日記)과 ‘여성을위한아시아평화국민기금’집성(1997년간)에 수록돼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일본군 강제 위안부 문제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의결한 사안인데도 일본 정치인이 과거의 죄과를 부정하는 것은 반인권적 행태가 아닐 수 없다"며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죄를 요구했다.
한편 일본은 위안소 운영에 군이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하다 1990년대 이를 일부 인정했으나 피해자들의 배상청구권은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해결됐다며 법적 책임을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근 일부 인정한 사실마저 부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herai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허상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