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魂)과 넋이 분리되는 사건이다. 우리조상들은 죽음을 맞으면 다시 새로운 시간을 부여받기 위해서는 우주의 시계인 칠성(七星)으로 되돌아 가야 한다고 믿었다.그래서 본래 회귀를 뜻하는 '돌아 가셨다'는 말로 표현했다. 사람이 죽으면 칠성판 위에 올려 놓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혼비백산(魂飛魄散 - 혼은 비상하고, 백은 흩어 진다고 한다. 기는 정령(精靈)이며, 서양에서는 요정이라고 말한다. 제후(諸侯)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사(士)는 불록(不祿 죽으면 녹을 받지 못한다), 서인은 사(死)라고 한다. 관(棺) 속에 있는 것을 구(柩)라고 한다. 새가 죽는 것을 강(降)이라 하고, 네 발 짐승이 죽는 것을 지(漬)라고 하며, 구난(寇難 외국의 침략이나 난리)에 죽는 것을 병(兵)이라 한다. 강(康), 덕(德), 명(命)으로, 命은 '자기 집에서 일생을 편안히 마치기를 바란다' 는 고종명(考終命)이다. 윷놀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이것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태어나서 머지않아 '게(기어 다니다)'하고, 이어서 '걸(걷다)'하게 된다. 걷게 되면 '윷(나아 가다)'하게 되는데, 결국 '모(墓)'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 인생이라는 것. 임금님이 나아가시는 길 즉, 어로(御路)이다. 이는 망자를 받드는 형식이며, 죽음의 공포를 벗어나려는 산 자의 자위의식이기도 하다. 乙十口節十口'의 '十口'는 태어남이요, 후렴의 '乙尸口節尸口'의 '尸口는 죽음이니, 생사를 가름한다. '하나에서 시작하여 끝남이 없는 영원히 이어진다' 이니, 천국과 윤회사상으로 영과 육이 회귀되는 종교의 사후관과 맥락이 이어짐이다. '알파와 오메가'는 알파벳의 시원으로 '처음과 끝'을 나타낸다. 알파는 소 뿔을 상형한 글로 처음에는 ‘V’자 형태였으나, 후에 아랄의 해가 떠오르는 태양을 상형한 글 모양으로 탄생, 오메가는 묘를 상형한 글 모양으로 죽음을 나타낸다. 자궁(子宮)이니 태어남이요, 무덤 tomb은 죽음을 말한다. '오늘 내가 사는 목적은 싸우는 데 있다. 내일 내가 사는 목적은 이기는 데 있고, 일생동안 내가 사는 목적은 잘 죽는 데 있다'라고 했다. 이 또한 고종명(考終命)이다.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다'고 새겼다고 한다. 일생의 삶이 그리도 허탈함이었을까. 죄명으로 독배를 마신 소크라테스. 그의 모습을 지켜보던 제자 들이 얼굴을 감싸고 통곡하자, 소크라테스는 '웬 곡소리들인가, 이런 창피한 꼴을 보게 될까 봐 아낙네들을 먼저 보냈거늘, 사람은 마땅히 평화롭게 죽어야 한다고 들었네, 조용하고 꿋꿋하게 행동하게' 라며 태연히 독약을 마셨다.
두 말은 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나 완벽한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 간다는의미로, 석가모니와 고승의 죽음을 가르키는 말이다. 또한 불교에는 신라 때 자장(慈藏)스님이 시체 옆에서 몇 달간 머물면서 육신이 썩어 백골로 변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수행, 도를 터득했다는 백골관(白骨觀) 수행법이 있다. '착하게 살다가 복되게 끝마친다'는 뜻으로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준말이다. 삶과 죽음의 의미를 묵상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 매년 11월을 위령성월(慰靈聖月)로 하고 있다. '하나님의 부름을 받는다'는 소천(召天)을 쓰기도 한다.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산 자의 하나님이시라' 누가복음(20:38)의 기록도 보인다. 곧 우주라는 커다란 생명에서 온 것이며, 동시에 죽게 되면 이 우주의 커다란 생명인 본래의 자리로 돌아간다며 환원(還元)이라는 용어를 쓴다.
|
'우리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당신께 시간이 전하는 말 (0) | 2011.12.23 |
---|---|
좋은 말 한마디의 위력 (0) | 2011.12.22 |
1월부터 전용통장으로 실업급여 압류 방지 (0) | 2011.12.21 |
기재부, MB 처남댁의 다스지분 넘겨받아 공매 실시 (0) | 2011.12.21 |
웃음의 종류 (0) | 201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