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

오장병을 음식으로 치료하는 법[五藏食治]

이천이 2011. 11. 6. 14:06

오장병을 음식으로 치료하는 법[五藏食治]

 

서론(序論)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려면 음식을 잘 가려 먹어야 하고 함부로 약을 먹으면 안 된다 하니 이것은 한 편만 도와 오장의 기운이 균형을 잃어 외부로부터의 병을 받아들이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사람은 먹지 않고서는 살지 못하는데 음식이 좋고 해로운 것을 분간할 줄 모른다. 이것은 마치 우리들이 매일 이용하는 물과 불을 눈앞에 두고 지내면서도 그 정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사람이 의존하는 것은 형체이고 건강을 해롭게 하는 것은 병이다. 병독을 제거시키는 것은 약이며 위험한 생명을 구제하는 것은 의사이다. 몸을 건강하게 하는 근본은 반드시 음식에서 찾을 것이고 병을 속히 치료하는 데는 반드시 약에 의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먹어서 좋은 지를 알지 못하는 사람은 살아가기가 힘들고 금기해야 할 약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은 병을 고칠 수 없는 것이다. 이 두 가지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이것을 소홀히 생각하고 알려고도 하지 않으니 참으로 슬픈 일이다. 그러므로 음식은 병사도 물리치는 동시에 오장육부도 든든하게 하고 정신도 유쾌하게 하며 의지도 명랑하게 하여 피와 기운을 생겨나게 하는 원천이 되는 것이다. 만일 음식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하고 정신을 안정시켜 병을 낫게 할 줄 안다면 이런 사람들은 훌륭한 의사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장수하는 기묘한 방법이며 양생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므로 의사들은 반드시 먼저 병의 근원을 정확히 밝히고 무엇이 침범하는가를 살펴서 먼저 음식으로 치료해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약을 쓸 것이다.약의 성질은 맹렬하고 강력하기가 무기와 같다. 무기를 어찌 함부로 사용하겠는가. 만일 조금이라도 잘못 쓰면 적지 않은 손상을 입게 되므로 여러 가지 약을 쓰면 해가 될 수 있는 것도 많다.

음식은 아무거나 먹으면 안 된다. 음식을 아무거나 먹으면 그 중에서 서로 맞지 않는 것이 있을 수 있고 맞지 않았을 때는 해를 볼 수도 있다. 혹 당장에는 특별한 탈이 없어도 오랫동안 쌓이면 병이 된다.

또 반찬을 먹는 데도 될수록 간소하게 해야 한다. 생선, 고기, 과실 등에서도 사람에게 유익한 것을 골라서 먹어야 한다. 대체로 음식은 항상 검소하고 절도 있게 먹을 것이다. 만일 반찬이 많고 입맛이 당긴다고 하여 앉은 자리에서 너무 많이 먹으면 배불러서 숨결이 가빠지거나 혹은 갑자기 병이 나서 곽란이 될 수도 있다. 또 하지에서 추분까지의 사이에는 반드시 기름진 음식, 떡, 곰국, 졸인 젖, 기름 등속을 삼가할 것이다. 이런 것들은 그 철에 많이 먹는 술, 냉국, 오이, 실과 등과는 서로 아주 해롭기 때문이다. 몸에 병이 많은 것은 모두 봄과 여름에 찬 것을 너무 많이 먹었거나 음식을 조절하지 못한 데서 생긴 것이다. 또 생선회나 여러 가지의 비린 것, 찬 것들이 모두 사람에게 해로운 것이므로 아주 먹지 않는 편이 좋고, 졸인 젖 등을 항상 먹으면 근력과 담력이 생기고 몸도 윤택해지지만 갑자기 많이 먹으면 역시 창만증과 설사가 생겨서 한동안 지나서야 점차로 회복될 수 있다.

 

오장에 배합되는 것[五臟所合法]

 

간은 힘줄과 배합되고 그 외부표현은 손발톱이며 심은 맥과 배합되고 그 외부 표현은 살빛이며, 비는 살과 배합되고 그 외부 표현은 입술이며, 폐는 피부와 배합되고 그 외부 표현은 솜털이며, 신은 뼈와 배합되고 그 외부표현은 머리털이다.

오장에 맞게 먹는법[五臟所宜食法]

 

간장병에는 참깨, 개고기, 추리, 부추 등을 먹는 것이 좋다. 심장병에는 보리, 양고기, 살구, 염교 등을 먹는 것이 좋다. 비장병에는 피쌀, 소고기, 대추, 아욱 등을 먹는 것이 좋다. 폐장병에는 기장쌀, 닭고기, 복숭아, 파를 먹는 것이 좋다. 신장병에는 콩나물, 돼지고기, 밤, 콩잎 등을 먹는 것이 좋다. 간에 관계되는 빛은 푸른데 단 것을 먹는 것이 좋다. 멥쌀, 소고기, 대추, 아욱 등은 모두 단 것이다. 심장에 관계되는 빛은 붉은데 신 것을 먹는 것이 좋다. 팥, 개고기, 추리, 부추 등은 모두 신 것이다. 폐에 관계되는 빛은 흰데 쓴 것을 먹는 것이 좋다. 보리, 양고기, 살구, 염교는 모두 쓴 것이다. 비장에 관계되는 빛은 누른데 짠 것을 먹는 것이 좋다. 콩, 돼지고기, 밤, 콩잎은 모두 짠 것이다. 신장에 관계되는 빛은 검은데 매운 것을 먹는 것이 좋다. 기장쌀, 닭고기, 복숭아, 파는 모두 매운 것이다.

 

다섯 가지 맛의 배합[五味所配法]

 

쌀밥은 달다. 참깨는 시다. 콩은 짜다. 보리는 쓰다. 대추는 달다. 추리는 시다. 밤은 짜다. 살구는 쓰다. 복숭아는 맵다. 기장쌀은 맵다. 아욱은 달다. 부추는 시다. 콩잎은 짜다. 염교는 쓰다. 파는 맵다. 소고기는 달다. 개고기는 시다. 돼지고기는 짜다. 양고기는 쓰다. 닭고기는 맵다.

 

오장병을 다섯 가지 맛으로 치료하는 방법[五臟病五味對治法]

 

간은 조이는 것을 싫어하므로 급히 단것을 먹어 완화시키고, 펼치는 것을 좋아하므로 급히 매운 것을 먹어 펼치며 신 것으로 풀고 바람을 쏘이지 말 것이다.

심장은 늘어지는 것을 싫어하므로 곧 신 것을 먹어 수축시키고, 연한 것을 좋아하므로 곧 짠 것을 먹어 연하게 하고 단것으로 사하고 뜨겁게 먹고 두텁게 입는 것을 금해야 한다.

비는 습기를 싫어하므로 곧 급히 쓴 것을 먹어 마르게 하고, 늘어지는 것을 좋아하므로 급히 단 것을 먹어 완화시킨다. 쓴 것으로 사하고 뜨겁게 먹고 배부르게 먹는 것과 습기 있는 땅에 거처하는 것과 젖은 옷 입는 것을 금해야 한다.

폐는 기운이 치밀어 숨이 올려 받치는 것을 싫어하므로 급히 쓴 것을 먹어 발설하여야 한다. 폐는 기운을 거두어들이는 것을 좋아하므로 곧 신 것을 먹어 수렴시키고 매운 것으로 사하고 찬 것을 먹거나 옷을 얇게 입지 말아야 한다.

신은 마른 것을 싫어하므로 급히 매운 것을 먹어 눅여주어야 한다. 이것은 땀구멍을 열어 진액을 돕게 함으로써 기운을 통하게 하자는 것이다. 신은 든든하게 하는 것을 좋아하므로 급히 쓴 것을 먹어 뭉치게 하고 짠 것으로 사한다. 불 붙는 앞에 가지 말고 옷을 덥게 입거나 더운 음식을 먹지 말 것이다. 그러므로 독한 약들은 사기를 치고 5곡은 영양하며 다섯 가지의 육류는 기운을 돕게 하고 다섯 가지의 과실은 영양을 도우며 다섯 가지의 남새는 그 영양을 보충하는 것이다. 사람의 정기는 음식을 먹는 데서 생기므로 음식은 정기를 기르고 몸에 화색을 나타낸다. 사람의 몸은 음식물을 먹는 데서 유지되므로 음식은 형체를 키워서 힘을 생기게 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신장은 다섯인데 다섯 가지 맛과 연결하여 25종으로 작용하고 형장은 넷인데 4방 4시, 4계, 4지를 상징하였다.

신장과 합하면 모두 45종인데 이것으로 신을 모하면 오래 살고 늙어도 잘 볼 수 있다.

사람의 정기가 다섯 가지의 기운을 잘 받아들이면 영활한 작용을 한다. 만일 서로 반대되는 기운을 얻으면 정기를 상한다. 사람의 형체는 다섯 가지의 맛을 받아서 이루어지는데 만일 서로 조화되지 않는 맛을 먹으면 형체를 상할 수 있다.그러므로 사람들은 먼저 음식에 깊은 주의를 돌려 생명을 유지한 다음 약으로 생명을 방위하여 왔다. 그러므로 형체가 부족한 것은 기운으로 덥게 하고 정기가 부족한 것은 맛으로 보완하여 형체와 정기를 함께 보존하도록 해야 한다.

양은 기운이고 음은 맛이다. 맛은 형체로 가고 형체는 기운으로 가며 기는 정기로 가고 정기는 기화한다. 정은 기에서 생기고 형체는 맛에서 생긴다. 그리하여 기화작용이 정을 내며 기운이 형체를 낸다. 맛은 형체를 상하게도 하고 기운은 정을 상하게도 한다. 정이 변하여서 기가 되며 기운은 맛에 의하여 상한다. 음에 속하는 맛은 아랫 구멍(대소변)으로 나가고 양에 속하는 기운은 윗 구멍(귀, 눈, 입, 코)으로 나간다.

맛이 짙은 것은 음이고 맛이 옅은 것은 음 속의 양이다. 성질이 센 것은 양이고 성질이 약한 것은 양 속의 음이다. 맛이 짙으면 설하고 맛이 옅으면 토한다. 성질이 약하면 발산하고 성질이 세면 막힌다. 센 불기운은 원기를 쇠약하게 하고 약한 불기운은 원기를 조장시킨다. 즉 불기운은 원기를 침해하고 약한 불기운은 원기를 생장시키므로 지나친 양기는 원기를 손상시키고 정상인 양기는 원기를 조장한다. 맛이 맵고 단것은 발산하므로 양이고, 시고 쓴 것은 토하기도 하고 설하기도 하므로 음이다. 음이 지나치면 양이 병들고, 양이 지나치면 음이 병든다. 때문에 음양이 조화되면 사람이 편안하다. 봄철 72일 동안은 신 것을 덜 먹고 단것을 더 먹어 비의 기운을 배양해야 한다. 여름철 72일 동안은 쓴 것을 덜 먹고 매운 것을 더 먹어 폐의 기운을 배양해야 한다. 가을철 72일 동안은 매운 것을 덜 먹고 신 것을 더 먹어 간에 기운을 배양해야 한다. 겨울철 72일 동안은 짠 것을 덜 먹고 쓴 것을 더 먹어 심의 기운을 배양해야 한다. 매 절기의 끝달 18일씩 단것을 덜 먹고 짠것을 더 먹어 신의 기운을 배양해야 한다.

음식으로 치료하는 법[食治方]

 

산조인죽(酸棗人粥)

간담병이나 잠을 잘 못자는 것을 치료한다.

산조인 5돈(노랗게 볶아 가루내어 술 3홉에 담근 웃물), 멥쌀 3홉, 먼저 멥쌀로 죽을 쑤는데 다 되어갈 무렵에 산조인 담근 웃물을 넣고 다시 3~5번 끓어오르도록 달여 빈 속에 먹는다.

 

잠 못자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산조인 전병[煎餠方治不得睡酸棗人方]

* 산조인(볶아 찧어서 가루낸 것) 7돈 5푼, 인삼(가루낸 것) 2돈 5푼, 복신(가루낸 것) 2돈 5푼, 멥쌀(물에 일어 가루낸 것) 4냥, 밀가루 4냥.

위의 약가루를 쌀가루와 밀가루에 섞어 물을 넣고 개어 전병을 부쳐 먹는데 고깃국이나 또는 양념을 쳐서 먹어도 좋다.

 

* 양의 간은 성질이 차기 때문에 간에 풍과 허열이 있어서 눈에 피가 지고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양의 간을 생것으로 7개를 먹으면 낫는다.

 

* 양의 간은 주로 눈을 밝게 하는데 얇게 썰어 햇볕에 말려 가루낸 것과 결명자와 여뀌씨를 고소하게 볶은 것을 함께 가루내어 알약을 만들어 매일 먹으면 눈 어두운 증세가 없어진다.

 

* 심장이 허하여 풍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데는 참마죽[薯蕷撥粥]을 먹는 것이 좋다.

참마(날것 적당한 양을 껍질을 버리고 묽은 풀처럼 간다).

위의 것을 갈아서 밀가루에 넣고 반죽하여 된장 국물에 수제비국을 끓여 갖은 양념을 넣어 먹는다.

 

풍열 기운이 심장에 몰려 속이 몹시 답답하면서 정신이 흐리멍텅하고 불안한 것을 치료하는 데 배를 달여 먹는다.

배 3알(썬 것), 사탕 5돈.

위의 것을 큰 잔으로 물 1잔에 달여 6분쯤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식후에 덥게 하여 2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가슴에 열이 나고 답답한 것을 치료하며 갈증을 멎게 하는 달걀국[雞子羹方]

달걀 3개 순채(썬 것) 1근, 담죽순(껍질을 버리고 썬 것) 4냥.

위의 순채와 담죽순을 된장 국물에 끓여 국이 다 될 무렵에 달걀을 깨뜨려 넣어 먹는다.

 

가슴 속에 열이 나서 답답하거나 혹은 목이 마르면서 가슴이 뛰는 것을 치료하는 칡죽[葛粉粥]

칡뿌리 녹말 4냥, 좁쌀 5홉.

좁쌀을 하룻밤 물에 담갔다가 이튿날 건져내어 칡뿌리녹말과 함께 섞어 죽을 쑤어먹는다.

비의 기운이 약하여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않는 데는 양의 위장[羊肚方]을 쪄서 먹는 것이 좋다.

양의 위 1보(보통 해먹는 대로 장만한 것), 양고기 1근, 인삼(가루낸 것) 1냥, 진피(속을 긁어버린 것) 1냥, 육두구 1개(가루낸다), 머귀나무 열매(가루낸 것) 5돈, 건강(가루낸 것) 5돈, 후추(가루낸 것) 2돈 5푼, 생강(썬 것) 1냥, 총백(썬 것) 14대, 멥쌀(물에 일은 것) 5홉, 소금 5돈.

위의 여러 가지 약가루를 고기, 쌀, 파, 소금에 섞어 양의 위속에 넣고 김이 새지 않게 실로 단단히 잡아 매어 아주 물크러지게 쪄서 3~4번에 나누어 빈 속에 먹는데 간장이나 초를 약간 쳐서 먹어도 좋다.

 

비위 기운이 약하여 많이 먹을 수 없고 먹으면 잘 내리지 않으며 팔다리에 힘이 없고 점점 여위는 것을 치료하는 데 돼지위쌈[猪肚方]을 쪄서 먹는 것이 좋다.

돼지위 날 것으로 큰 것 1보, 인삼 1냥, 진피(속을 긁어버린 것) 1냥, 찐밥 5돈, 돼지지라(잘게 썬 것) 1보.

위의 여러 가지 약과 돼지지라를 찐밥에 섞어서 돼지 위 속에 넣고 실로 동여매고 푹 익도록 쪄서 갖은 양념을 넣어 마음대로 먹는다.

비위 기운이 약하여 담으로 구토하거나 딸꾹질을 하면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반하수제비국[半夏碁子粥方]

반하(끓는 물에 7번 담갔다가 진을 뺀 것) 2돈, 건강(싸서 터지게 구운 것) 1돈, 밀가루 7돈 5푼, 달걀 흰자위 1개.

위의 약을 가루내어 밀가루와 달걀흰자위에 반죽하여 바둑알만하게 만들어 익도록 삶은 다음 다른 물에 씻어 빈 속에 먹는다.

비위 기운이 약하고 오랫동안 차서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 유황죽(硫黃粥)

유황 2돈 5푼, 흰차좁쌀 2홉.

위의 차좁쌀로 죽을 쑨 후 유황가루와 술 2홉을 넣어 골고루 저어 빈속에 먹는다.

 

심장을 돕고 폐장을 윤택하게 하며 가슴 속이 안타깝게 답답한 것을 치료하고 기침을 없애는 30뿌리찜[益心潤肺治胸膈煩躁除咳嗽灌藕方]

연근 큰것으로 3줄기, 마(날 것) 3냥, 백복령 3냥, 밀가루 4냥, 천문동(심을 버리고 잘게 썬 것) 2냥, 대추(껍질과 씨를 버린 것) 21알, 우유 2홉, 꿀 6홉, 날백합 2냥.

위의 백합과 마와 천문동을 문드러지게 갈고 거기에 꿀을 넣어 다시 보드랍게 간 다음, 대추를 넣고 그 다음에 복령을 넣고 그 다음에는 밀가루를 넣어 섞어서 반죽하여 좀 되면 곧 다시 누른소의 젖을 넣고 묽지도 되지도 않을 정도로 만들어 연근구멍 속에 가득 차도록 넣어 시루에 쪄서 매번 식후나 잘 무렵에 조금씩 먹는다.

 

기운이 치받쳐 숨이 차고 기침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쓰는 처방[治上氣喘急咳嗽宜服此方]

돼지콩팥사이살갗(기름을 버리고 잘게 썬 것) 3보.

대추 30알을 꺼풀과 씨를 버리고 돼지콩팥사이살갗과 함께 좋은 술 3되에 담가두는데 가을과 겨울에는 7일간 담그고 봄과 여름에는 3일간 담갔다가 베수건으로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주량에 맞게 천천히 마신다.

폐장에 열이 있어서 안타깝고 답답한 것을 치료하는 것[治肺藏壅熱煩悶]

새로 캔 백합 4냥을 꿀 반잔에 버무려 푹 익도록 쪄서 때때로 대추알만큼씩 입에 물고 침을 삼킨다.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대와 억새의 차이  (0) 2011.11.07
1처妻 다부多夫의 풍속/ 여왕곡女王谷 이야기  (0) 2011.11.07
결명자 효능  (0) 2011.11.05
편백과 측백나무  (0) 2011.11.04
국내여행지 베스트 50  (0) 2011.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