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1979년 출간되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화제작,
《만다라》의 개작판이 청년사에서 출간되었다.
《만다라》는 인간의 존재론적 고뇌와 방황을 종교적 색채로 탁월하게 형상화한 수작으로,
우리 소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고전이다.
파계승 지산과 수도승 법운의 우연한 만남과 동행,
그리고 방황의 기록을 통해 불교계의 모순과 인간의 위선을 드러내며,
개인의 자유와 해탈의 의미를 묻는다.
또한 종교적 차원을 넘어 본질과 현상,
선과 악,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벗어나 삶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 다가간다.
개작된《만다라》에는 훨씬 깊어진 작가의 의식세계가 담겨 있어
김성동 작가의 변화된 사유를 엿볼 수 있다.
특히나 외래어의 홍수 속에서 이제는 그 형체를 찾을 수 없게 되어버린
아리따운 우리말을 되살려놓아 그 가치는 더욱 크다.
개작판 《만다라》는 도서출판 깊은강에서 2001년 출간되었고,
이번에 청년사에서 복간한 것이다.
이 책의 줄거리
출가한 지 육 년째 아직도 '병 속의 새'라는 화두를 풀지 못한 채
수도 중이던 법운은 우연히 지산이라는 파계승을 만나 수도 생활의 전환을 맞게 된다.
지산은 술과 오입을 즐기며 거침없는 말을 뱉는 파계승이지만
상식을 깨고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날카로운 언어를 지녔다.
지산은 법운에게 크나큰 혼란을 주는 동시에 표면적인 이분법의 세계와
그 경계에서 벗어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기도 한다.
계속되는 법운과 지산의 동행에는 견성성불에 대한 희망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희망의 싹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던 중 지산은 허무와 절망 가운데서 죽고,
오랜 고뇌의 끝에 선 법운은 지산의 시신을 화장한 뒤 방황을 지속한다.
그러나 결국 법운은 가장 본질적인 것은 역시 자신의 큰 수행임을 깨닫고 피안으로 가는
차를 타기 위해 정거장으로 힘껏 달려간다.
만다라 (曼茶羅, Mandala)
(산스크리트로 '圓'이라는 뜻)
힌두교와 탄트라 불교에서 종교의례를 거행할 때나 명상할 때 사용하는
상징적인 그림(→ 탄트라 힌두교).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우주를 상징한다.
즉 신들이 거할 수 있는 신성한 장소이며, 우주의 힘이 응집되는 장소이다.
인간(소우주)은 정신적으로 만다라에 '들어가' 그 중심을 향하여 '전진'하며 유추에 의해 흩어지고
다시 결합하는 우주 과정으로 인도된다.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2종류가 있어 우주의 2가지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에서 여럿을 향해 움직이는 '태장계'(胎藏界 garbha-dhātu)와 여럿에서 한 곳을 향해 움직이는
'금강계'(金剛界 vajra-dhātu)가 그것이다.
만다라는 종이나 천에 색칠하여 그리거나, 정성스럽게 준비된 땅에 흰색 실이나 채색된 실 또는
쌀가루로 그리거나(탄트라 불교의 입문식에서 사용),
청동으로 형상을 만들거나, 혹은 자바 중부지방의 보로부두르에서와 같이 돌로 만들기도 한다.
그곳에서 행하는 탑돌이도 중심에 접근하는 의식에 해당된다.
티베트의 '탕카'(천으로 된 두루마리 그림)에 나타난 만다라는 탄트라 불교의 전형적인 만다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1개 혹은 여러 개의 동심원을 둘러싸고 있는 바깥원이 있으며, 안쪽의 원들은 중앙에서
네 귀퉁이까지 선들이 교차해 있는 4각형을 둘러싸고 있다.
중심과 각 3각형의 가운데에는 5개의 원이 있는데
이 원에는 신의 상징이나 형상이 새겨져 있다. 주로 5명의 '구원불'(久遠佛)이 그려진다.
만다라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원 중 첫번째는 불의 고리이다.
이것은 입문하지 않는 자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무지를 불태운다.
두 번째 원은 다이아몬드 띠로 밝게 비춘다는 의미이다.
그다음 8개의 묘지로 이루어진 원은 인식을 개체화하는 8가지 양상을 상징한 것이고,
연잎사귀로 된 띠는 영적인 재생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중심에 있는 만다라에는 상들이 놓여 있다.
전통 만다라에서는 황금과 산호, 진주 등 적·청·황·녹·백의 다섯가지 귀한 재료를 썼지만
요즘은 그같은 값비싼 재료 대신 옥석 가루에 색을 입혀 사용한다.
너비 1.2m 크기 8각형의 단 위에 티베트 현지에서 가져온 옥석 가루와 버터로 만다라를 표현한다.
버터는 꽃이 귀한 티베트에서 부처님께 버터로 꽃모양을 빚어 바쳤던 데서 유래한다.
물감과 붓을 사용해 만드는 만다라가 아니라, ‘짝부’라는 길이 30㎝ 정도의 원추형 대롱을 통해 옥석가루를
조금씩 흘리는 작업으로 조금만 호흡이 흐트러지면 가루가 날려 그림이
망가지기 때문에 여간 어려운 작업이 아니다.
모든 업장의 소멸과 함께 다시 무(無)로 돌아간다는 의미를 살려, 원래 옥석가루로 만든 만다라는
완성과 동시에 다 쓸어 없애버린다.

만다라(Mandala)는 마음(Man)을 보호한다(dala)라는 뜻입니다.
관세음 보살을 모시기 위한 신성한 궁전에 해당하며
만다라 가운데의의 초록색 타원안의 연꽃이 관세음보살님이 머무시는 장소랍니다.
한국에서는 금강계와 태장계의 만다라는 유포되지 않았고,
석가모니가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한 성도상(成道相)을 묘사한
화엄변상도(華嚴變相圖)와 석가모니가 영산(靈山)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靈山會相圖)가 널리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만다라들은 한국 특유의 것으로서 화엄의 원리에 의한 통일의 의미를 담고 있다.
만다라의 주요한 상징
만다라 구성 5색
백색: 안정과 액운방지
청색: 조복을 상징
황색: 발전, 수명장수, 사업번창
적색: 사랑, 좋은 결연, 부부화합
녹색(흑색) : 조복을 상징
5대 존재요소
지(地)
수(水)
화(火)
풍(風)
공(空)
팔길상
1. 법라
불법의 가르침이 멀리멀리 퍼져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자신의 어려움을 깨닫게 한다.
2. 일산
삶에서 겪게 되는 질병과 장애를 막아주며, 지옥, 아귀, 축생의 삼학도의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의미
3. 산개
승리의 깃발은 불법의 공덕이 모든 악령들을 물리칠 것을 상징
4. 금어
물고기가 바다를 마음대로 헤엄치며 노니듯 중생들도 용기있게 진리를 실천하는 것을 상징.
5. 문양
끝없이 이어진 고리처럼 수행의 길을 가면서 본래 비어있음(공성)과 인연법에 의해 지혜와 자비가 하나가 됨을 표현.
6. 연화
더러움에 물들지 않은 연꽃처럼 중생들도 번뇌와 죄악으로부터 벗어나 축복받는 삶에 이르는 것을 상징
7. 보병
부족함이 하나없는 자성의 공덕을 깨달아 이 세상과 저 세상의 부와 자유를 얻는 것을 상징.
8. 법륜
진리와 수레바퀴는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내용이 모든 중생에게 전해져 진리의 기쁨과 올바른 행위 속에서
자유와 평화를 누리는 것을 상징
한편 칼라차크라는 범어로 시간(kala)과 바퀴(cakra)가 합해진 말로 "영원한 시간의 수레바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를 테마로 한 칼라챠크라 만다라는 영원한 시간의 수레바퀴가 바로 우리 마음의 본래 모습임을 깨닫게 해주기 위한
불교의 상징이라고 한다.
'우리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의 꿈 (2) (0) | 2010.08.26 |
---|---|
박근혜의 꿈 (3) (0) | 2010.08.26 |
허영만 화백의 예언? <식객> 한 장면, 4대강 논란과 흡사 (0) | 2010.08.26 |
대통령께 묻습니다. (0) | 2010.08.26 |
삶에는 정답이 없다 (0) | 2010.08.26 |